-블록체인 기반의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가상화폐)로, 화폐 단위는 XRP이다. 리플은 본래 웹 개발자인 라이언 푸거(Ryan Fugger)가 2004년 전 세계 은행 간 실시간 자금 송금을 위한 서비스로 개발한 리플페이(RipplePay)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후 2012년 크리스 라슨(Chris Larsen)과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의 주도로 오픈코인(OpenCoin)이 설립되면서 암호화폐가 발행됐다. 오픈코인은 2013년에는 리플랩스로 사명을 변경했다.
-리플은 본래 2009년에 코인이 아닌 간편송금을 목적으로 개발된 결제 프로토콜이다. 이후 2012년 오픈코인(OpenCoin)이라는 회사가 설립된 이후 가상화폐가 발행됐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달리 채굴이 불가능하다.
리플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리플넷’ 안에서 일종의 송금 수수료 개념으로 쓰인다. 1회 송금당 걸리는 시간이 3~4초로 비트코인(7초)보다 빠르다.
이 같은 강점 때문에 뱅크오브아메리카, 스탠다드차타드, UBS 등 100곳이 넘는 금융회사들이 리플과 송금 협약을 맺었다. 한국에선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이 리플과 협약을 맺고 일본과의 송금에 리플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코인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이코노미무브먼트(XEM) (0) | 2020.10.05 |
---|---|
온톨리지(ONT) (0) | 2020.10.05 |
비트코인캐시(BCH) (1) | 2020.10.05 |
호라이젠(ZEN) (0) | 2020.10.05 |
이더리움 클래식(ETC) (0) | 202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