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스(EOS)는 위임지분증명방식을 사용하는 제3세대 암호화폐 이다. 중국어로는 요우즈비라고 한다. 이오스의 화폐 단위는 EOS 이다. 2017년 5월부터 미국 블록원 회사의 브렌드블루머 대표이사와 댄라이머 기술이사 등이이더리움 기반으로 개발했고, 2018년 6월 이더리움에서 벗어나 자체 메인넷을 오픈했다.
-이오스는 "이더리움 킬러"라고 불린다. 이오스는 이더리움의 느린 처리 속도와 높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방책으로 등장
-이오스는 디앱의 수직적 및 수평적 확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블록체인 아키텍쳐를 도입
#디앱 :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앱과 전통적인 앱의 차이점
항목 | 디앱(DApp) | 전통적인 앱 |
정보 저장/ 보안 | 분산된 개인 간 네트워크에 저장으로 해킹의 어려움 |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 저장 서버나 로컬 컴퓨터를 이용하므로 해킹의 위험성 높음 |
데이터 삭제 여부 | 데이터나 거래는 생성된 뒤 삭제가 불가능 |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 가능 |
정보 투명성 | 모두 공개되고 공공 거래 장부에 모두 기록 |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접근 권한 필요 |
가동성 | 일부 블록이 다운되어도 다른 블록들이 동일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음 | 앱을 동작시키는 서버나 컴퓨터가 다운되면 정지 |
사용자 비용 |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통 토큰/코인이 필요 | 앱을 사용하는 것 자체는 일반적으로 무료 |
유저 친화성 | 지갑, 토큰, 거래 등 현재까지는 학습하는데 시간 필요 | 일반적으로 튜토리얼 없이 사용 가능할 정도로 편리 |
거래 속도 | 사용하는 블록체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느림 | 인터넷이나 하드웨어 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빠름 |
구동 방식 |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명령 을 수행하고 정보를 가져오게 됨 | 서버와 앱에 포함된 프로그래밍에 따라 서버와 앱 사이 정보 전송 |
-이오스 블록체인은 궁극적으로 초당 수백만 트랜잭션으로 확장될 수 있고, 사용자 수수료를 없애며, 블록체인 환경에서 디앱을 쉽고 빠르게 배포하고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트랜잭션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
* 이오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eos.io/
'#코인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골드(BTG) (1) | 2020.10.15 |
---|---|
스토리지(STORJ) (0) | 2020.10.12 |
지캐시(ZEC) (1) | 2020.10.09 |
시아코인(SIA) (4) | 2020.10.08 |
골렘(GNT) (1) | 2020.10.08 |